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520027058957

영남일보TV

정부 “사용후배터리, 국가 핵심자원 육성”…포항·구미 산업계 호재

2025-05-20 22:18

환경부 14개 정책과제 제시

포항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내 전기차 배터리 거점수거센터 내부 모습. <경북도 제공>

포항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 내 전기차 배터리 거점수거센터 내부 모습. <경북도 제공>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이 경북의 신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정부가 사용 후 배터리를 국가 핵심자원으로 육성하는 방침을 세우고, 글로벌시장 선점을 위한 정책을 내놓으면서 관련 산업 활성화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포항·구미 경우 관련 인프라 조성에 따른 수혜 가능성이 커졌다. 20일 경북도에 따르면 환경부는 최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사용 후 배터리 순환이용 활성화 방안'을 발표했다. 급성장이 예상되는 사용 후 배터리 시장 선점을 위한 주요 정책을 마련한 것이다.

환경부는 △순환이용 시장 조성 △재활용 가능자원 수급 안정화 △기술혁신 및 경쟁력 강화 △전주기 관리기반 구축을 4대 핵심 전략으로 꼽고, 이를 실행할 14개 정책과제를 제시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폐제품 내 배터리 회수율을 높이도록 유도한다. 전기·전자제품에 재생 원료를 사용한 배터리를 탑재할 경우 회수·재활용 의무량을 감면하는 등의 혜택을 준다. 또 사용 후 배터리 기술 개발과 재사용 제품의 판로개척에 대한 지원은 물론, 순환이용 촉진을 위한 규제도 완화한다. 이 같은 정책은 포항과 구미의 사용 후 배터리 산업계에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포항은 사용 후 배터리 인라인 자동평가 센터를 착공한 데 이어 하반기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자원순환클러스터를 완공한다. 신규 사업으로 'LFP배터리 전용 실증센터'를 추진 중이다. 2차전지 종합관리센터, 전기차배터리 거점수거센터 등 주요 인프라가 이미 포항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에 조성돼 있어 시너지가 기대된다. 포항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사업(2019~2023년)을 시작으로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 기준마련 실증 △2차전지 종합관리센터 설치 △배터리 자원순환 기업 유치 등 관련 산업 기반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다. 구미도 지난해 11월 'BaaS시험 실증센터' 기공식을 가졌다. BaaS(Battery as a Service)는 수리·렌탈·충전·재사용 등 배터리 생애 전반에 대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구미는 최근 AI 기반 사용 후 배터리 평가 사업 공모전에도 뛰어들었다.

이와 함께 지역 기업이 환경부에 건의한 △배터리 재사용 제품의 공공부문 우선구매 지원 △방전 완료 폐배터리 취급 업체의 방전장비 설치의무 면제 등 업계 애로사항이 정책에 반영되면서 산업 활성화에 대한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최혁준 경북도 메타AI과학국장은 "이번 정부 정책과 함께 지역이 강점을 가진 전략사업을 최대한 연계해 경북을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의 국가 컨트롤타워로 육성하겠다"고 말했다.


기자 이미지

박종진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