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째 도전만에 ‘AI 로봇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규제특례 및 해외 실증·인증 지원 나서

대구가 21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AI 로봇 글로벌 혁신특구'에 지정됐다. 관련 특구가 구축되는 달성군 국가테스트필드 전경. <대구시 제공>
'로봇산업 선도 도시' 대구가 마지막 화룡점정(畵龍點睛)을 찍었다. 국내 최초 AI 로봇 글로벌 혁신특구로 지정되면서 대구는 국내 로봇산업 수도에서 글로벌 로봇도시로 도약할 기회를 맞게 됐다.
21일 중소벤처기업부에 따르면 대구는 경남(차세대 첨단위성), 대전(합성생물학기반 첨단 바이오제조)과 함께 제2차 글로벌 혁신특구에 최종 지정됐다. 특구 운영 기간은 다음달 1일부터 2029년 5월31일까지 4년이며, 사업 성과에 따라 최대 2년 연장도 가능하다. 특구 고시는 이달 말 이뤄진다. 특구 대상지는 서구·북구·수성구·달서구·달성군 일원 32.16㎢이다.
중기부는 지난해부터 지역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중점 지원하기 위해 기존 규제자유특구를 한층 고도화 한 글로벌 혁신특구를 추가로 지정하고 있다. 규제특례를 허용하기 어려워 실증에 어려움이 있거나 해외 수요에 맞는 제품 개발 및 해외시장 진출이 주요 목적인 경우, 국내에 전문적인 연구 인프라가 부족한 경우 등이 지정 대상이다. 규제특례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의 실증 및 인증까지 지원한다.
대구의 이번 특구 지정은 2023년말 제1차 글로벌 혁신특구 공모에서 탈락한 뒤 두 번째 도전만에 이뤄낸 쾌거다. 당시에도 국내 로봇산업 중심지였던 대구는 특구 지정에 대한 기대감이 컸지만, 아쉽게 고배를 마셨다. 국가로봇테스트필드와의 연계성 등 전략 측면에선 부족함이 없다는 평가를 받았지만, 사업대상지를 '대구 전역'으로 설정한 게 패착이었다.
대구시는 이번 재도전에서 특구를 거머쥐기 위해 철저히 준비했다. 우선 '대구 전역'으로 설정한 사업 대상지를 달성군 테크노폴리스와 수성구 수성알파시티 일대로 좁혔다. 또 △성장 단계별 핵심 역량 확보 △제품 고도화 △신속한 글로벌화를 통해 AI 로봇 분야 유니콘 기업을 육성하겠다는 단순하지만 명쾌한 전략도 제시했다. 1년 새 지역 로봇산업의 규모를 키우고, 내실화를 높인 점 등도 이번 혁신특구 지정에 한 몫 했다는 분석이다.
혁신특구 지정에 따라 대구시는 첨단 제조존(대구테크노폴리스·국가산단 등) 및 AI 혁신존(수성알파시티) 등 기존 구축된 AI 로봇 관련 인프라를 활용, AI 관련 규제를 완화하는 등 AI 로봇 기술 혁신을 추진하게 된다. 또 경제자유구역 입주기업 등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해외 수요처에 맞는 제품을 실증해 특구 기업의 해외 진출 지원에도 나선다.
이번 특구 지정으로 연구 목적에 한 해 정보 주체의 동의 없이 AI 자율주행 로봇의 개인정보가 포함된 영상의 촬영, 수집, 처리도 허용된다. 또 특정 지역에서 일정기간 동안 도로 작업용 로봇 기술 개발을 위한 AI 자율주행 로봇을 도로에서 실증할 수 있다.
해외 수요처 맞춤형 실증도 지원하고 제품 기획단계부터 미국, 유럽 등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해외인증 및 해외 우수기업·연구기관의 혁신기술 확보를 위한 국제공동 R&D(연구개발)도 지원한다.

이승엽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