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자본 중심 판매 구조가 약사의 전문성 무너뜨려”
지자체·보건복지부·국회에 위법 약국 차단 대책 요구

금병미 대구시약사회장.

대구시약사회가 22일 시약사회관에서 '기형적 약국 개설 시도 규탄 성명서'를 발표한 뒤 결의의 의미로 주먹을 쥐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대구시약사회 제공>
대구시약사회(회장 금병미)가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 조짐을 보이는 이른바 '기형적 약국' 개설 시도를 두고 강한 우려를 표했다. 이들은 "약국의 본질을 훼손하고 지역 주민의 건강권을 침해하는 행위"라며, "보건의료 체계 전반을 무너뜨릴 수 있는 심각한 사안"이라고 경고했다.
대구시약사회는 22일 발표한 성명에서 "기형적 약국은 대형 자본의 상업적 논리로 지역약국을 단순 유통거점으로 전락시키고 있다"며 "지역약국의 붕괴는 곧 국민 건강 돌봄 체계의 붕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약국이 단순한 판매처가 아니라 복약지도와 약물 관리, 만성질환 관리 등 지역사회 의료안전망의 핵심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시약사회는 "약사의 전문적 개입과 상담 없이 판매 중심으로 운영되는 구조는 약물 오남용과 부작용, 약물 상호작용의 위험을 키운다"며 "이는 국민 건강권과 생명권을 근본적으로 위협하는 문제"라고 했다.
특히 일부 기형적 약국이 대형 창고나 상가를 개조해 위생적 조제 공간과 상담 시설을 제대로 갖추지 않은 채 운영되는 사례를 지적하며, 이는 약사법상 약국 요건을 명백히 위반하는 불법 행위라고 꼬집었다.
시약사회는 △지자체와 보건소의 철저한 조사 및 위법 약국 허가 취소 △보건복지부의 명확한 유권해석과 시행규칙 보완 △국회의 약사법 개정을 통한 제도적 차단을 요구했다.
이들은 "지역약국은 단순한 약국이 아니라 국민 생명을 지키는 공공의료기관"이라며 "국민 건강권을 위협하는 기형적 약국 모델의 확산을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