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정부 ‘전면 재검토’ 시사에 경북 최종 후보지 3곳 민심 엇갈려

환경부 기후대응댐 최종 후보지에 오른 운문천댐 전경. 이곳에 저수용량 660만㎥ 규모의 용수 전용댐 신설이 추진된다. 영남일보 DB
극한호우나 가뭄에 대비하기 위한 '물그릇' 기후대응댐 건설을 두고 경북지역에서도 각양각색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근 산사태로 인명피해가 발생한 예천은 '찬성'을 상습 단수 지역인 청도는 '중립', 김천은 추가 댐 건설 '반대' 입장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기후환경댐 최종 후보지로 선정된 김천 감천댐(1천600만㎥)과 예천 용두천댐(160만㎥)은 홍수 조절을 위한 용도, 청도 운문천댐(660만㎥)은 용수 공급을 위한 전용댐으로 계획됐다. 2035년 완공 시 경북 상류지 담수능력이 확대되고 청도지역 가뭄 해소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정부가 바뀌면서 기후대응댐 추진하던 환경부가 미온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이달 임명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인사 청문회 당시 "신규 댐 건설은 지역 내 찬반 논란과 함께 홍수·가뭄 예방 효과도 일정 부분 있다"며 "정밀한 재검토를 거쳐 합리적인 방향을 설정하겠다"고 원점 재검토를 시사했다.
이 같은 여론을 의식하듯 경북지역 일부 주민들 역시 신규 댐 건설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기후대응 댐 중 가장 규모가 큰 김천에서 반대 목소리가 나온다. 국가하천인 감천 인근에 부항댐이 있고 홍수 예방 공사도 진행되고 있어 추가 댐 건설이 불필요하단 시각이 여전하다. 앞서 지난 2016년에 감천 상류에 대덕댐 건설이 추진됐지만,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다.
전종병 김천시 하천관리팀장은 "댐 건설에 따른 수몰지 주민들은 대체로 찬성하지만 상류지역 주민들의 반대가 극심한 편"이라며 "8월 중 협의회의를 열어 주민과의 소통의 장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북지역에는 안동댐을 비롯한 다목적 7개소와 용수전용댐(4개), 농업용수댐(3개), 기후대응댐 2개소 등 총 16개 댐이 설치돼 있다. 이번에 기후대응댐 3곳이 추가되면 전체 댐 숫자는 19개로 늘어난다. 이들 댐은 저수지 담수 용량을 늘리고 가뭄과 홍수 피해 예방에도 효과적이다. 최근 극한 기후가 지속되면서 경남에 대규모 침수가 발생함에 따라 기후대응댐의 추가 증측의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기후대응댐 방향 설정에 돌입한 모양새다. 환경부 관계자는 "사업의 빠른 추진보단 정밀 재검토를 통해 합리적인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며 "재검토가 끝난 뒤 사업성 등을 따져 사업 추진 여부를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