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인권위원회는 최근 교육부 장관에게 이른바 '7세 고시' 등 극단적 형태의 조기 사교육을 해소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냈다. 앞서 '아동학대 7세 고시 국민 고발단'이 극단적인 선행 사교육이 아동의 기본 권리인 건강한 성장과 발달에 악영향을 끼친다며 인권위에 진정을 제기했다. 인권위는 민간 학원이 인권위 조사 대상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진정을 각하하면서도 극단적인 조기 사교육이 불러올 파장이 중대한 만큼, 교육부에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표명했
7세 고시는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유명 초등 수학·영어학원에 들어가기 위해 치르는 시험을 말한다. 흔히 극단적인 사교육 행태를 꼬집는 말로 쓰인다. 하지만 이것만 있는 게 아니다. 영어유치원에 입학하기 위해 치르는 시험인 '4세 고시'도 있다. 일부 학부모들은 3~4세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프렙(preparation)반'에 보내 4세 고시를 준비한다.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학원이 운영하는 '초등 의대반'도 있다. 한창 뛰어놀아야 할 아이들을 조기교육이란 이름으로 끊임없이 사교육 대열에 몰아세우는 것이 과연 아이를 위한 것일까.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우울증 등 정신건강 관련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어린이 수가 2020년보다 2배 이상 늘었다. 저출산으로 어린이 수가 매년 감소하는 점을 고려하면 심각한 문제다. 인도 시인 라빈드라나트 타고르는 "어린이는 신이 인간에게 절망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보낸 천사"라고 했다. 희망의 상징인 천사마저 절망의 구렁텅이에 빠뜨리는 것은 아닌지 하는 걱정이 든다. 김수영 논설위원

김수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