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대구 시내 한 지하철역에 설치된 무인민원발급기가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전산망 마비 여파로 운영이 중단돼 있다. 이번 사고로 전국 관공서와 역사에 설치된 발급기가 멈추면서 민원 서비스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28일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현장에서 합동감식을 위해 소방, 경찰,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관계자들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6일 발생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 화재로 국가전산망 기능이 '올스톱'되면서 대구에서도 시민들이 큰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온라인 행정서비스, 무인 민원발급기 등은 물론 각종 은행 업무에서도 이용에 큰 제약을 받고 있다. 복구가 늦어지면 관련 업무를 수기로 처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28일 영남일보 취재 결과, 국가전산망 기능 마비사태 이후 직장인 이모(대구 동구)씨는 은행 업무를 보기 위해 모바일 앱에 접속했다. 하지만 신분 확인이 되지 않아 일을 마무리하지 못했다. 이 씨는 "주민등록증 등 신분증을 입력해야 단계가 진행되는데, 정부 사이트 장애로 신분증 진위확인 서비스가 중단됐다고 안내하더라. 조금이라도 빨리 원상복구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정부 웹사이트에서 민원서류를 발급받지 못하고, 각 구·군청 등에 설치된 무인 민원발급기도 서비스가 중단되자 시민들은 발을 동동 굴렀다. 우체국 금융·우편 기능도 마비되면서 주말 사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던 시민들도 당혹해하고 있다.
주부 김모씨(달서구 거주)는 "우체국을 통해 토요일 중 도착한다던 택배가 감감무소식이다. 당장 월요일에 써야하는데, 차선책이 있는 지 알아보고 있다"며 "곧 있으면 추석연휴가 시작하지 않나. 택배대란이 일어나는 건 아닐지 걱정된다"고 했다.
일선 지자체는 월요일(29일) 오전까지 전산망이 복구되지 않으면 '민원 폭탄'이 날아들 것을 우려하고 있다. 한 구청 관계자는 "각 부서에서도 현황을 파악 중이다. 마비 범위조차 정확히 알지 못하고 있다. 중앙정부와 연동되는 서비스는 대부분 먹통이다. 29일 아침 본격 업무가 시작되면 각종 문제가 불거질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구청 측은 "천만다행으로 대민행정서비스가 일단 운영 자체엔 문제가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온라인을 이용한 간편 서비스는 대부분 제한되겠지만, 창구를 방문하면 필요한 민원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업무도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했다.
소방이나 항공 등에서도 일부 불편은 있지만 정상 운영엔 큰 문제가 없는 상황이다. 대구소방본부는 문자나 영상 신고를 받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본래 전화 신고 비율이 큰 만큼 주말 동안엔 큰 불편이 없었다는 입장이다.
대구공항에선 이용객들이 항공기 탑승 시 이용할 수 있는 전자신분확인 서비스가 제한되지만, 운영엔 지장이 없다고 전했다. 다만, 공항 이용객들에게 주민등록증 등 실물 신분증 지참을 안내하고 있다. 특히 신분증 사본, 정부기관 대체 누리집, 민간 앱으로 신분 확인 범위를 임시 확대한 상황이다.
지역 교육당국도 비상이다. 국정자원 화재로 EPKI( 교육부 행정전자서명인증시스템) 인증 절차에 장애가 발생한 탓이다. 대구시교육청은 비상 대응 체계를 가동한 상태다. 시교육청은 지난 27일 오전 정보시스템 총괄 관리 부서와 미래교육연구원 실무자로 구성된 비상대응반을 편성했다. 나이스, K-에듀파인, 기관(학교) 누리집, 에듀테크 플랫폼의 운영 상황을 점검하고, 팝업 공지와 메신저를 통해 장애 상황을 전파했다.
28일에도 긴급회의를 열고, 계약·지출·복무·문서 처리 등 핵심 행정업무의 수기(手記) 전환 준비 상황을 점검했다. 이날 오전 8시 기준, 나이스와 K-에듀파인 등 대부분의 주요 서비스는 정상적으로 접속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됐다. 다만, 정부24를 통한 민원 발급 서비스(졸업증명서 외 33종)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의 복구 전까지 이용이 제한되고 있다. 이에 시교육청은 정부24 복구 전까지 교육(지원)청과 학교 행정실을 방문해 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팝업 공지를 전 기관(학교) 누리집에 게시했다.

최시웅

박영민

구경모(대구)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