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이어 경남·울산, 국토부에 김해신공항 백지화 공식 요청
일각선 “가덕도 추진되면 대구통합공항도 국비이전 요구해야”
부산·울산·경남이 대구·경북과 합의한 영남권(동남권) 신공항의 대안인 김해공항 확장의 전면 백지화를 선언하고 나서면서, 이참에 영남권을 대표하는 관문공항 건설을 원점에서 다시 논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오거돈 부산시장·송철호 울산시장·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지난 16일 울산시청에서 ‘부·울·경 동남권 관문 공항검증단 검증결과 보고회’를 열고 “국토교통부의 김해신공항 추진계획은 영남권 관문공항 기능이 불가능하다”며 “국토부는 이를 백지화하고 전면 재검토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면서 “국무총리에게 공정하고 객관적인 최종 판정을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부산에 이어 경남과 울산까지 김해신공항 백지화를 공식화한 것이다. 여기다 오 부산시장은 올해 초 가덕도신공항 추진 입장을 천명하고, 경남과 울산도 사실상 공조하는 분위기다.
이런 가운데 대구는 기부 대 양여 방식으로 대구공항과 K2공군기지의 통합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부·울·경이 요구하는 김해신공항 백지화가 국비 지원을 전제로 한 2016년 6월 정부와의 약속을 파기한 것이라면, 대구·경북도 통합대구공항 사업을 역시 원점에서 재검토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즉 대구·경북도 이참에 영남권 신공항을 다시 검토하는 큰 그림을 그려야 한다는 것이다.
한 공항 전문가는 “대구공항 부지를 팔아 추진하는 통합대구공항 이전에 목을 맬 때가 아니다. 대구·경북도 김해신공항이 무산된다면 2년6개월 이전 시점으로 돌아가 영남권 전체를 아우르는 제2의 관문공항 논의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덕도 신공항이 현실화되면 영남권에 2개의 관문공항 건설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울산도 내심 가덕도 신공항에 대해 다소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이 사실인 만큼 이참에 대구·경북은 울산과 함께 영남권 신공항 카드를 다시 꺼내들 필요도 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대구 정치권 한 관계자는 “부산에서 영남권 5개 시·도가 약속한 김해신공항 건설을 손바닥 뒤집 듯 파기하고 다시 가덕도 신공항을 주장하고 나선 상황에서 대구·경북이 국비 10원도 지원받지 못하는 통합대구공항 이전에만 목을 매는 이유를 모르겠다”고 지적했다. 이어 “부산이 가덕도 신공항 카드를 다시 내민 만큼 대구·경북도 울산과 함께 밀양을 포함해 영남권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제2의 관문공항 건설을 다시 논의하자는 카드를 꺼내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지역 일각에선 전국 전투기 소음피해 배상액의 절반을 차지하는 대구가 나서서 전투기 소음피해 배상의 현실화를 위한 법 개정을 추진하고 첫 단추가 잘못 꿰어진 기부 대 양여 방식의 군공항이전특별법 개정까지도 논의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부산이 가덕도 카드를 쓴다면 대구는 통합대구공항이전 국비 지원 카드를 써야 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공항 전문가는 “대구입장에선 2년6개월 전으로 돌아가서 영남권 모두 합의하는 신공항을 새롭게 선정하는 전략과 함께 가덕도신공항 건설이 추진된다면 통합대구공항 이전도 국비 지원을 받는 투트랙 전략이 유효하다”고 했다.
실제로 부산지역 경제계 등에서도 가덕도신공항 추진이 전제된다면 통합대구공항 이전에 국비가 투입되는 것에 반대하지 않는다는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가덕도신공항 건설에 찬성 입장인 4선의 자유한국당 유기준 의원(부산 서구-동구)은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부산상공회의소 등에서는 가덕도신공항만 추진된다면 대구공항 이전도 적극 돕겠다는 입장”이라며 “부산에서는 대구공항 이전에 국비가 투입되는 줄 알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유 의원은 “대구공항 이전에 국비가 한 푼도 지원되지 않는다는 것은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정치권에서 노력만 한다면 대구공항 이전에 국비 지원은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본다”며 “이 같은 사실을 부산 의원에게 제대로 알리고 대구·경북 의원들과도 논의를 통해 대구공항 이전에 국비가 투입될 수 있도록 저부터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그는 또 “800만명과 500만명의 국민이 사는 지역에 두 개의 관문공항이 없으라는 법은 없다”면서 “사람과 물류 모두 수도권으로 몰리는 이유 중 공항도 빼놓을 수 없다. 일본만 해도 도쿄에 나리타공항, 오사카에 간사이공항, 나고야에 주부공항이 거점별로 관문공항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