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지역 일간지에 실린 만평이 5·18 민주화 운동 모욕 논란에 휩싸였다.
매일신문 19일자 지면에 실린 '집 없이 떠돌거나 아닌 밤중에 두들겨 맞거나'라는 제목의 '매일희평'에는 건보료(건강보험료), 재산세, 종부세(종합부동산세)라고 이름 붙여진 군인들이 '9억 초과 1주택자'라고 이름 붙어있는 시민을 몽둥이로 때리는 내용이 그려졌다.
이 만평이 온라인에 올라오자 비난이 빗발쳤다. 집값 급등으로 세금 부담이 커진 상황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 시민들에게 가해진 공수부대의 물리적 폭력에 빗댄 것이라는 지적이었다. 네티즌들로부터 "아무리 정부가 싫어도, 민주당이 싫어도,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은 구분해야 한다"는 반응이 나왔다.
논란이 되자 20일 오후 해당 만평은 매일신문 홈페이지에서 사라졌다. 이후 별다른 입장 표명이 없다가 지난 21일 매일신문 홈페이지에 입장문이 올라왔다. 매일신문 측은 입장문에서 "광주민주화운동과 그 정신을 폄훼할 의도는 추호도 갖고 있지 않다. 광주시민의 명예를 훼손하려 했다는 건 얼토당토않은 주장"이라며 "매일신문을 향해 그런 주장을 펴는 건 매일신문이 일관되게 현 정부에 대해 너무 뼈아픈 비판을 해왔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희 보도 취지와는 전혀 다르게, 광주 시민들의 아픈 생채기를 조금이라도 건드리고 들춰낸 점이 있다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했다.
매일신문의 사과문 발표에도 논란은 이어졌다. 5·18 민주재단과 5·18민주유공자유족회 등 관련 단체는 22일 성명을 내고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토대다. 그러나 헌법이 보장한 기본권이라도 사회적 공감대와 상식이라는 울타리 내에서 작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23일에는 대구경북 137개 시민사회단체가 매일신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만평에 대한 공식 사과와 이 만평을 그린 김경수 작가의 퇴출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국민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반성 없는 입장문만 게재해 더욱 공분을 사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각에선 이를 놓고 '표현의 자유'라는 주장을 내놨다. 물론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은 만평에서 얼마든지 다뤄질 수 있는 소재다. 하지만 풍자와 비유도 넘지 말아야 할 선이 있다. 대구 지하철 참사 피해자를 '통구이'라며 조롱했던 일부 네티즌의 표현을 사용해 광주 지역 일간지에 만평이 실렸다면 대구에선 어떤 반응이 나왔을까.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매일신문 19일자 지면에 실린 '집 없이 떠돌거나 아닌 밤중에 두들겨 맞거나'라는 제목의 '매일희평'에는 건보료(건강보험료), 재산세, 종부세(종합부동산세)라고 이름 붙여진 군인들이 '9억 초과 1주택자'라고 이름 붙어있는 시민을 몽둥이로 때리는 내용이 그려졌다.
이 만평이 온라인에 올라오자 비난이 빗발쳤다. 집값 급등으로 세금 부담이 커진 상황을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당시 광주 시민들에게 가해진 공수부대의 물리적 폭력에 빗댄 것이라는 지적이었다. 네티즌들로부터 "아무리 정부가 싫어도, 민주당이 싫어도,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은 구분해야 한다"는 반응이 나왔다.
논란이 되자 20일 오후 해당 만평은 매일신문 홈페이지에서 사라졌다. 이후 별다른 입장 표명이 없다가 지난 21일 매일신문 홈페이지에 입장문이 올라왔다. 매일신문 측은 입장문에서 "광주민주화운동과 그 정신을 폄훼할 의도는 추호도 갖고 있지 않다. 광주시민의 명예를 훼손하려 했다는 건 얼토당토않은 주장"이라며 "매일신문을 향해 그런 주장을 펴는 건 매일신문이 일관되게 현 정부에 대해 너무 뼈아픈 비판을 해왔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저희 보도 취지와는 전혀 다르게, 광주 시민들의 아픈 생채기를 조금이라도 건드리고 들춰낸 점이 있다면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했다.
매일신문의 사과문 발표에도 논란은 이어졌다. 5·18 민주재단과 5·18민주유공자유족회 등 관련 단체는 22일 성명을 내고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는 민주주의의 토대다. 그러나 헌법이 보장한 기본권이라도 사회적 공감대와 상식이라는 울타리 내에서 작동해야 한다"고 밝혔다.
지난 23일에는 대구경북 137개 시민사회단체가 매일신문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만평에 대한 공식 사과와 이 만평을 그린 김경수 작가의 퇴출을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국민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반성 없는 입장문만 게재해 더욱 공분을 사고 있다"고 비판했다.
일각에선 이를 놓고 '표현의 자유'라는 주장을 내놨다. 물론 정부 정책에 대한 비판은 만평에서 얼마든지 다뤄질 수 있는 소재다. 하지만 풍자와 비유도 넘지 말아야 할 선이 있다. 대구 지하철 참사 피해자를 '통구이'라며 조롱했던 일부 네티즌의 표현을 사용해 광주 지역 일간지에 만평이 실렸다면 대구에선 어떤 반응이 나왔을까. 최미애기자 miaechoi21@yeongnam.com
최미애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