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국증권행정연구원 원장 |
2021년 신흥 NFT(Non Fungible Token) 시장은 2020년 4분기 대비 2천100배 성장했고 소비자 지출은 20억달러를 초과했다. 올해 1분기 NFT 구매자는 7만3천명, NFT 판매자는 3만3천명이다. 이 수치가 인상적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전 세계 현실 예술품시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다. 2018년 세계 예술품 시장 규모는 647억달러이며, 그중 미국, 중국, 영국이 84%를 차지하고 있다.
지금의 딜러 및 경매회사와 같은 중개자가 지배하는 예술품 시장의 전통 인프라시설은 갈수록 온라인화되고 글로벌화되는 세상에서 이미 시대에 뒤떨어져 있다. 이 세계에서 신흥시장의 예술품 수요는 끊임없이 증가할 수밖에 없다.
현재 진행 중인 COVID-19는 예술계에 어떤 장기적 영향을 미칠지 모르는 가운데, NFT 시장은 제3자와 중개상이 제거될 수 있도록 스마트 계약이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보여준다. 단, 현 상황에 비추어 볼 때 지금의 NFT 시장 인프라는 결함이 너무 많고 사용자 오류의 가능성이 높아 전통 예술품 시장의 검증, 배포, 경매와 소유권 인증의 대체 방법으로 할 수 없다. 늘어나는 NFT 작품 수요에도 불구하고 조작 위험과 잠재적인 사기 거래로 인해 현재의 NFT 거래 영업모델은 너무 위험이 커서 규모화된 거래를 실현할 수 없다.
오늘날 NFT에 포함된 데이터를 보면 누가 어떤 예술품의 진정한 제작자인지 알 수 없다. 그 결과 사기꾼이 NFT를 만들어 특정 유명 아티스트의 작품으로 구현하는 위조 사례가 늘고 있다. 사기꾼은 아티스트가 만든 실제 예술 작품의 이미지 사진을 찍어 NFT로 변환한 다음 자신이 아티스트인 척하여 NFT를 판매한다.
다음 특정 NFT가 중요한 관련 콘텐츠나 데이터(이미지 등)를 나타내는 경우 해당 데이터는 블록체인에 저장되지 않는다. 대신 NFT에는 데이터 저장소 링크가 포함되며 가장 일반적으로 인터넷 하이퍼링크를 통해 이루어진다. 하이퍼링크 끝의 데이터(이미지 등)가 변경되거나 사라지면 블록체인 데이터에서 NFT와 관련된 실제 이미지가 무엇인지 알거나 증명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NFT 관련 데이터의 지속성을 보호할 방법이 없다. 충격적이지만 실제 상황은 그렇다. 이는 NFT와 관련된 실제 이미지나 데이터가 변경되거나 삭제되어 NFT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사용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즉 사람들이 실수로 길고 복잡한 주소를 복사하거나 중간자(man-in-the-middle) 공격을 받아 수백만 달러가 잘못된 주소로 보내지거나 영구적으로 도난당할 수도 있다.
실제 예술 세계에서 예술가는 자신의 작품에 서명하여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작품의 소유자는 신뢰할 수 있는 장소에 안전하게 보관하여 작품의 영속성을 보장한다. NFT가 장기적인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술이 유사한 기능을 구현하고 이를 분산적이고 자율적인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어야 한다.
NFT 작품의 위조를 방지하고 원본 콘텐츠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호하는 것은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NFT 작품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예술품 구매자와 판매자에게 보다 공정하고 투명한 시스템을 보장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미래의 예술 생태계는 가야 할 방향성이 분명하다.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바로 그것을 구축하는 것이다. NFT 예술품 시장의 검증, 유통, 경매 및 소유권 인증 등의 제도적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이유다.
<중국증권행정연구원 원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