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스와핑의 우리나라 도입 검토와 시사점' 보고서
![]() |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8일 발표한 '전기차 배터리 스와핑의 우리나라 도입 검토와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전기차 충전 인프라 및 서비스 개선을 위해 교체식 배터리가 속속 도입되고 있다.
특히 중국의 경우 전기차 배터리 교환소에서 자동화 설비를 통해 미리 완충해 놓은 배터리를 2~3분 내에 방전된 배터리와 교체하는 '배터리 스와핑(Swapping)'이 이미 보편화돼 있다. 지난해 중국의 배터리 스와핑 시장 규모는 45억위안(약 8천400억원)으로 2025년쯤에는 1천억 위안(약 18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기업들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아 관련 기술 고도화에 사활을 걸고 있다. 세계 최대 배터리 제조사인 'CATL'도 최근 자회사를 설립, 배터리 스와핑 시장에 진입했다. 교환형 배터리 충전소를 운영 중인 '니오'는 2년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수익성도 우수하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중국 내 배터리 교체식 전기차는 2025년까지 매년 86%씩 증가해 총 192만대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상용차는 연 평균 98%씩 성장해 16만대까지 늘면서 전체 신재생 상용차의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한국은 전기차 교체형 배터리 사업이 아직 활성화되지 않고 있다. 2013년 르노삼성차가 제주도에서 배터리 교환 사업을 추진했으나 짧은 전기차 주행거리, 긴 배터리 교체시간, 시설·인력 부족 등으로 좌초된 바 있다.
무역협회는 배터리 스와핑은 효율적 국토 활용과 전력망 관리, 배터리 안정성 제고, 수명 연장 등의 장점이 있다며 국내에도 배터리 스와핑 도입을 고려해야 할 것을 제안했다.
다만 대규모 자본 투자가 필요한 분야인 만큼 대기업 중심 비즈니스가 될 수 있다고 봤다. 이에 자동차 점검·수리, 부품 판매 등 서비스업과도 연계해 대·중소기업이 상생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 창출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이 보고서는 "정부는 완성차 및 배터리 제조사·배터리 교환소 운영업체·폐배터리 재활용 기업 등 각 이해관계자를 총망라한 협업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배터리 구독제·스왑핑 인프라·차량 구매 보조금 정책 등 초기 지원이 필요한 부문을 선별해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