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구의회 의원연구단체 '북구 청년정책연구회' 청년 정책 연구 최종보고회
![]() |
지난 1일 대구 북구의회 의원연구단체 「북구 청년정책연구회」연구용역 최종보고회가 의회 소회의실에서 진행됐다. 대구 북구의회 제공 |
대구 북구의회가 '북구청의 청년 정책이 변화할 시점'이라며 강조하고 나섰다.
지난 1일 북구의회 의원연구단체 '북구 청년정책연구회'는 정책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북구의 효과적인 청년정책 플랫폼 구성을 위한 전담인력 배치를 북구청에 요청했다. 현재 북구청의 청년정책은 인구정책팀의 청년담당이 맡고 있지만, 행정기구 설치 조례에 따라 청년정책과 또는 구청장 직속의 청년정책담당관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북구 청년정책 수립을 위한 청년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북구 산하 청년종합지원센터를 설치할 것도 요구했다.
![]() |
북구 청년인구 감소 현황. 영남일보DB |
북구 청년 인구는 2011년 13만9천224명에서 2021년 11만8천324명으로 10년 새 15%나 감소했다. 2021년 북구 청년 유출 사유 중 '직업'이 40.1%로 가장 컸으며, 다른 시·도로 전출한 인구 중 74%가 수도권으로 유출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북구청은 떠나는 청년들을 붙잡기 위해 △청년기반조성 △취·창업 지원 △일자리 확충 △평생교육지원을 중점적인 청년 정책으로 추진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청년창업가에게 창업초기자금을 지원하는 한편, 지역사랑 청년일자리사업, 행복북구 디지털 청년 내일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들이 청년 유출에 현실적인 대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북구 청년정책연구회는 이번 최종보고회에서 청년기본법과 북구 청년 기본 조례를 검토해 두 법의 체계 및 적합성을 검토하고, 주요 지자체 청년기본법 조례 제정 및 시행 을 비교·분석하기로 했다. 이어 청년 기본 조례 개정 전반에 대한 토론을 나누고, 정책제언과 청년 기본 조례 개정안 발의 의사를 밝혔다.
북구 청년 기본 조례는 2019년 9월에 제정·시행됐으며 청년의 경제·사회·문화 등 모든 분야에서 청년의 참여를 확대하고 △능력 개발 △고용 확대 △주거 안정 △문화예술 활성화 △권리 보호 △건강증진 △청년시설의 설치·운영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김시현 청년정책연구회 대표 의원은 "북구청의 청년정책이 청년들이 필요로 하는 정책보다는, 청년 일자리 정책에만 편중돼 있다"며 "청년에게 일자리만 있으면 된다는 단편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전반적인 청년 문제에 대해서도 들여다봐야 할 시점이 됐다. 청년들의 어려움을 공감하고 고민 해결을 위해 청년들의 정치·경제·사회·문화·복지·건강 등 모든 분야의 권익증진, 복지향상, 능동적 참여 확대를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