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여성·노동·성소수자·HIV감염자·이주민·청소년 7개 분야
지역인권 실태와 정책 제안 연이어
![]() |
20일 오후 3시 대구 중구 국가인권위원회 대구인권사무소 교육센터에서 '대구시민 인권 대토론회'가 열렸다. |
대구지역 각계 인권·시민단체가 20일 국가인권위원회 대구사무소에서 인권 증진·보장 등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장애인 △여성 △HIV △청소년 △이주민 △성소수자 △노동 등 총 7가지 분야 인권의 현실과 정책에 대한 발표가 있었다.
이들은 대구시가 지난해 9월 시정혁신의 일환으로 대구시 인권위원회를 폐지하면서 지역 인권 침해 상황에 대해 적절한 대응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발제에 나선 박동균 대구장애인차별철폐연대 상임활동가는 "2019년 기준 발달장애인 일자리 사업 참여자가 897명으로 취업인구 대비 2.1%에 그쳤다"고 했다. 이에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사업 추진 TF팀 구성 △선진 지역 견학 및 대구 직무 및 모형 검토 △2024년 기준 100명 대상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 시범사업 시행 등을 대구시에 건의했다.
남은주 대구경북여성단체연합 상임대표는 여성 인권과 관련 "대구의 경력단절 여성이 2021년 기준 7만769명(19.8%)으로 7대 광역시 중 가장 높다"며 △성평등 추진체계 강화 △성평등노동 실현 △지역 돌봄노동일자리 문제 해결 △젠더 폭력 방지책 강화 등을 제시했다.
이밖에 대구지역 청소년, 노동, 이주민, 성소수자 인권 실태 소개와 함께 제도 개선책 제안도 나왔다.
글·사진-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