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영 민주당 의원, 심평원·식약처 자료 분석
성장호르몬 처방 절반은 상급종합병원
5년 새 증가율은 의원급 가장 높아
![]() |
최근 5년간(2018~2023년)전국 시도별 소아성장약품 처방 건수 현황. 신현영 국회의원실 제공 |
'키 크는 주사'로 불리는 성장호르몬 주사제를 맞고 이상 증상을 호소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전문가들은 성장 호르몬 주사제는 의학적으로 성장에 문제 있는 환자에게 처방하는 약이어서 미용 목적으로 사용하는 건 부적절 하다는 입장이다.
29일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5만5천75건이던 성장호르몬 주사 처방이 2022년 19만1건으로 3.45배 증가했다.
2018년부터 지난해 6월까지 전체 처방 69만5천503건 중 절반인 34만4천193건(49.5%)이 상급종합병원에 집중됐다. 이어 종합병원급(24만6천624건), 병원급(7만1천89건) 순이었다. 의원급은 3만3천597건으로 성장호르몬 처방이 가장 적었다.
연령별로는 10∼14세 처방이 55.1%(38만3천331건)로 가장 많았다. 이어 5∼9세 40.0%(27만8천355건), 15∼19세 2.7%(1만8천883건), 5세 미만 2.1%(1만4천934건) 등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전체 27.7%(19만2천497건)로 가장 많았다. 경기 18.7%(13만234건), 대구 13.8%(9만6천127건), 대전 7.0%(4만8천394건), 인천 6.2%(4만3천108건), 부산 5.7%(3만9천318건), 경북 4.2%(2만9천39건) 등의 순이었다.
대구는 2018년 9천215건, 2019년 1만3천336건, 2020년 1만6천939건, 2021년 1만8천554건, 2022년 2만3천455건, 2023년 1~6월 1만4천628건 등으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경북지역도 같은 기간 1천892건, 2천770건, 4천298건, 6천622건, 8천327건, 5천130건 등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성장 호르몬 주사제 처방이 늘면서 부작용을 호소하는 사례도 증가했다. 신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년 320건이던 보고 건수는 2022년 1천604건으로 5배 늘었다.
2018년부터 2023년 9월까지 보고된 이상 사례는 총 5천368건이다. 이상 사례로는 △전신 장애 및 주사 부위 출혈·통증 △두통·어지러움 등 신경계 장애 △구토·상복부 통증·오심 등 위장관 장애 △두드러기·가려움증·발진 등 피부조직 장애 등이 주로 보고됐다. 다만, 식약처는 이러한 부작용과 성장 호르몬 주사제와 인과관계가 확인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신 의원은 "2019년 성장호르몬 주사제 급여 기준이 확대되면서 병의원 처방이 크게 증가했다"며 "일부 성장클리닉에서는 '키 크는 주사'로 알려지면서 유행처럼 무분별하게 남용됐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성장기 아동·청소년이 처방받는 만큼, 안전한 처방 관리가 필요하다"며 "정부는 현장 실태 조사 및 태책 마련을 통해 과도한 외모지상주의를 향한 의료 남용의 악순환을 끊어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강승규기자 kang@yeongnam.com

강승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