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30일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 발표
한강권역 4곳·낙동강권역 6곳 등
대구경북에서는 김천 감천·예천 용두천·청도 운문천 선정
![]() |
기후대응댐 후보지(안). 환경부 제공 |
김완섭 환경부 장관은 30일 낙동강유역 6곳이 포함된 기후대응댐 후보지 14곳을 발표했다. 기후대응댐은 홍수, 가뭄으로 인한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할 '물그릇'이다. 4개 권역별로 14개 기후대응댐을 만들어 홍수 방어 능력을 확보하고 가뭄 위기를 극복하겠다는 것.
기후대응댐 건설은 다목적댐 3곳, 홍수조절댐 7곳, 용수전용댐 4곳으로 이뤄진다. 권역별로는 한강권역 4곳, 낙동강권역 6곳, 금강권역 1곳, 영산강·섬진강권역 3곳이다.
김천 감천과 예천 용두천은 홍수조절댐으로 건설될 전망이다. 총저수용량은 각각 1천600만㎥, 160만㎥다. 특히 지난해 홍수로 인해 3명의 인명피해와 117억 원의 재산 피해가 발생한 예천의 경우 용두천에 신규 댐이 건설되면 200년 빈도의 폭우가 내려도 댐 하류를 홍수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자생력을 갖추게 된다.
청도 운문천은 용수전용댐 역할을 담당하며, 총저수용량은 660㎥다. 기존 운문댐 저수구역에 새로운 댐이 건설되며, 하루 8만명의 식수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로 지어진다. 무엇보다 운문댐의 용수 공급능력을 확대하는 동시에 수몰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환경부는 8월부터 지역별 설명회·공청회 등 주민 소통, 관계기관과의 협의에 나설 예정이다.
김 장관은 "지금 시작해도 10년 정도 소요되는 만큼 더는 댐 건설을 늦출 수 없다. 도로·상하수도 등 댐 주변 지원 예산을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동현기자 leedh@yeongnam.com

이동현
산소 같은 남자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