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생성에 GPU 다수 필요…샘 올트먼 “GPU 녹아내릴 정도 과부하”
정부 추진 ‘국가AI컴퓨팅센터’에 GPU 1만5천대 도입 예정

게티이미지뱅크
Chat GPT(챗GPT)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 열풍이 휘몰아치는 가운데 그래픽처리장치(GPU) 등 인프라 확충의 필요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일 ICT업계에 따르면 OpenAI가 지난달 25일 출시한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AI) 모델에 힘입어 챗GPT의 가입자가 5억명을 돌파했다.
국내에서도 네이버 자회사 스노우가 2023년 AI 사진 편집 앱 '에픽'에 셀피(셀프 사진)을 업로드 하면 1990년대 미국 졸업사진 느낌이 나는 이미지를 생성하는 'AI 이어북' 기능을 출시한 바 있다. 당시 소셜미디어(SNS)에는 유명 연예인과 재계 인사까지 다양한 인사들의 이미지가 올라오기도 했다.
다만, 아직 국내 AI 업계가 텍스트 중심 모델 기반에 머물러 있어 챗GPT 등 글로벌 이미지 생성 모델과의 격차를 줄이기는 쉽지 않다는 비관론도 있다.
AI 이미지 생성 모델은 광범위하고 많은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GPU가 필요하다. 따라서 GPU 등 AI 관련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하고, 이는 자연스레 인프라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분석했다.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는 챗GPT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이용자가 몰려 GPU가 녹아내릴 정도로 서버가 과부하를 일으키고 있다고 언급했다.
ICT업계 관계자는 “이미지 생성 모델은 학습·처리에 필요한 GPU가 훨씬 많이 필요하다"며 “텍스트 AI 중심인 국내 업계는 글로벌 AI 이미지 생성 모델이 API(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공개되면 갖다 쓰거나 구매해서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략을 쓸 수 있다"고 말했다.
지역 업계에 따르면 지역에는 대학 한 곳에서 소수의 GPU를 보유했을 뿐 AI 관련 인프라가 부족한 현실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추진하는 국가AI컴퓨팅센터 유치가 산업 진흥에 해답이 될 수 있다고 설명하며 지역 유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정부는 비(非)수도권 2곳에 AI 컴퓨팅센터를 건설해 국내 AI 컴퓨팅 생태계를 육성할 계획인데, 여기에 GPU 1만5천대를 도입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1만5천대는 오픈AI가 챗GPT4를 만드는 데 사용된 GPU수로 알려져 있다.
지역 업계 관계자는 “AI컴퓨팅센터를 국가가 구축해 운영한다면 그것을 이용해 관련 산업과 교육에 분명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