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829027442372

영남일보TV

[사설] ‘李 대통령, 장동혁 만나겠다’ 협치는 상례화돼야

2025-08-29 09:30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외교 난제의 하나였던 한미, 한일 정상회담이 마무리됐다. 여야간 비평의 호불호가 엇갈리지만, 이재명 대통령으로서는 비교적 성공적 데뷔였다고 자평할 만하다. 새 정부의 외치(外治)를 연착륙시켰다면 이제 내치(內治)를 둘러볼 시간이다. 때마침 여당에 이어 내홍을 앓아오던 야당인 국민의힘 전당대회도 마무리 됐다. 장동혁 당 대표의 새 지도부가 출범했다.


이 대통령이 일본-미국 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즉시 장동혁 대표를 비롯한 여야 지도부 회동을 준비하라고 우상호 정무수석에게 28일 지시했다. 고무적인 행보다. 여야가 날선 대치로 긴장감을 높인다 해도 대화를 포기해서는 안된다. 협치는 국민을 늘 직시해야 할 정치의 도리이다. 이 대통령이 즉각적 대화를 언급한 것은 본인이 야당 대표 시절 겪은 일종의 수모나 비합리성을 익히 알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이유야 어떠했던 윤석열 전 대통령은 재임시절 상당 기간 이재명 당시 민주당 대표와의 만남을 거절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내란세력과는 악수하지 않겠다'고 수차례 언급했다.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을 겸임한 송언석 원내대표와 국가 공식 행사장에서 악수는커녕 쳐다보지도 않는 장면이 연출됐다. 소통의 지침을 내린 대통령과는 결이 다른 셈이다. 당연히 태도 전환이 필요하다. 이는 야당 대표에게도 요구되는 바이다. 장 대표는 당내 경선에서 "이재명 정권을 끌어내리겠다"고 했다. 그렇다고 현 정권 수뇌부와 대화 자체를 절연하겠다는 선언은 아닐 것이다. 국가적 과제와 민생은 대화속에서 성숙한 해결책과 정책이 탄생한다. 21세기 대한민국에 어울리지 않은 계엄과 대통령 탄핵이란 난(亂)을 겪었다. 이제 '정치의 오케스트라'가 절실한 시점이다.



기자 이미지

논설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오피니언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