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으로 긴 추석 연휴에도 정치권의 공방은 그치지 않았다. 대표적으로 이재명 대통령과 김혜경 여사 부부가 종합편성채널 JTBC의 예능 프로그램인 '냉장고를 부탁해' 출연(7일 밤 방영)을 놓고서는 첨예한 설전이 오갔다. 이번 논쟁은 일종의 에피소드로 넘어갈 수 있는 장면이기도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한국정치의 미성숙 단계를 보여준다는 측면에서 심각성을 더한다.
야당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행정정보시스템이 마비된 상황에서 이 대통령 부부가 예능 프로그램 녹화방송에 임한 것을 놓고 '대통령 홍보용의 부적절한 처신이다. 48시간 동선을 해명하라'며 맹공을 퍼부었다. 대통령실은 이에 대해 "경주APEC을 앞둔 K-FOOD 홍보용"이라고 반박했다. 양쪽의 시각은 얼추 일리가 있겠지만, 사전 녹화시간대가 화재 발생과 복구로 긴박한 상황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대통령의 행보에 아쉬운 점이 남는다. 나아가 야당 대표까지 얽어넣는 고소고발전으로 비화한 것은 심히 유감스럽다.
대통령의 출연은 있을 수 있는 일이다. 하지만 이재명 정권 집권 이후 당면한 난제들을 고려하면 적절한 행보가 아니라는 비판도 새겨들어야 한다. 민주당 정권의 논리를 그대로 차용하면 '내란 사태가 종식되지 않고, 미국의 관세 압박이 거세며, 민생이 어려운 시기'에 취임 5개월차의 대통령이 한가하게 적지 않은 녹화시간을 할애하며 예능 프로그램에 출연한다면 그건 앞뒤가 어울리지 않는 장면이 되기 때문이다. 행여 화재 현장 같은 불편한 장소는 정권 인기에 도움 되지 않고, 화기애애한 예능 프로그램은 유리한 도구라고 인식한다면, 그건 국정운영의 실책이 될 것이다. 대통령의 행보는 보다 진중해야 한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