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녹내장은 우리에게 익숙한 안과질환 중 하나다.
문제는 그 증상이나 예방, 관리법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그냥 노화에 따른 ‘불편’으로 치부하는 등 묵혀두기 일쑤다.
질병관리본부에서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2009년 녹내장 환자는 40만명 수준이지만 2013년에는 63만명을 넘어섰다. 매년 환자가 15%가량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문제는 녹내장이 익숙한 질환이나, 그 증상이나 예방, 관리법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녹내장은 황반변성, 당뇨병 성망막질환과 함께 3대 실명 원인질환으로 꼽힌다.
특히 소리없는 시력도둑이라는 별명답게 녹내장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시신경에 이상이 생겨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이다. 특별히 통증을 유발하지 않기 때문에 환자는 초기에 불편함이나 증상을 느끼지 못한다. 하지만 한번 손상된 시신경은 회복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녹내장을 방치하면 실명까지 이를 수 있다.
또 실명과 관계된 질환이다 보니 ‘시력이 좋으면 걸리지 않는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을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다. 녹내장은 시신경손상과 함께 주변부 시야부터 시야결손이 진행해 서서히 시야가 좁아지는 질환이다.
시야가 모두 사라지기 전까지도 보이는 부분은 시력에 따라 뚜렷하게 보일 수 있다. ‘안압이 높아지면 녹내장이다’라는 속설도 잘못된 인식이다. 높은 안압이 녹내장의 위험요인 중 하나지만, 국내 녹내장환자의 77%의 안압은 정상인 ‘정상안압녹내장’인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녹내장 치료는 안압을 낮춰 시신경손상의 진행을 최소화하는 것인데, 크게 점안치료와 수술로 나뉜다. 주를 이루는 것이 점안제를 통해 치료하는 방법인데, 꾸준한 점안치료를 통해 안압을 조절해 녹내장으로 인한 시신경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병에 담긴 점안제는 1개월가량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뚜껑을 개봉한 뒤에도 안약의 세균오염을 막기 위해 보존제인 ‘염화벤잘코늄’이 사용되곤 한다.
하지만 이 점안제 속 보존제는 사람에 따라 ‘안구표면질환’을 유발해 작열감, 충혈, 따가움, 건조함 등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실제 녹내장환자의 안구건조증 발병률은 일반인보다 현저히 높다. 안구건조증이나 보존제로 인한 다른 부작용으로 겪는 불편함은 생각보다 훨씬 고통스럽다. 그렇다 보니 녹내장환자중 안구건조증으로 점안치료를 중단하는 경우도 왕왕 발생한다. 하지만 치료를 무작정 중단하는 순간부터 녹내장의 진행은 가속화되기 때문에 치료제로 인한 불편은 바로 전문의와 상담해 바로잡는 것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시중에 ‘무보존제녹내장약제’도 널리 공급되어 녹내장 점안제로 인한 안구건조증 등의 안구표면질환을 겪는 환자에게 좋은 대안이 되고 있다.
녹내장은 조기에 발견해 적절히 치료한다면 진행속도를 크게 늦춰 실명을 예방할 수 있는 만성질환이다. 마치 당뇨병이나 고혈압처럼 지속적인 치료를 통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것과 같다.
이종은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교수>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