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경북 전역이 경산·청도·봉화만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면서 경북도의 아쉬움이 짙어지고 있다. 확진자가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에서도 소비 위축 등의 피해가 극심하기 때문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15일 코로나19 정례대응 브리핑을 통해 "인구 266만명의 경북은 확진자가 1천100명에 달한다. 이는 대구를 제외한 15개 시·도를 합한 확진자보다 더 많다"며 "대단히 심각한 상황이다. 고통에 신음하면서도 묵묵히 질서를 지키며 감염병과 사투를 벌이는 도민에게 정부가 희망을 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된 봉화 확진자(60명)와 구미·포항·안동 등 도내 주요거점도시의 확진자(각 57명, 47명, 47명)는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이들 지역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지 않아 통신료·전기료·도시가스비·난방요금 등 공과금 감면 혜택과 건강보험료(3개월간 최대 50%) 등의 간접지원 혜택을 받을 수 없게 된다. 또 피해수습을 위한 방제비용·시설복구비 등에서도 국비 지원을 전혀 받을 수가 없으며, 응급대책 및 재난구호에 필요한 행정·재정·금융·의료 특별지원도 이뤄지지 않는다.
확진자가 나오지 않은 울진·울릉 등 2개 군 지역과 상대적으로 확진자가 적었던 시·군의 주민 역시 경기 위축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 경북지역 주요 관광도시인 경주·안동은 이미 관광객 발길이 끊겼으며 이로 인해 자영업자는 위기상황에 빠져 있다. 기업도 수출·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계속되는 개학 연기 등으로 인해 농가 매출도 급감하고 있다. 경북 전체가 확진자 수에 관계없이 극심한 경제 위기에 빠져 있는 상황이다.
이 도지사는 "코로나19로 인해 경북은 사실상 봉쇄됐고 경제는 초토화됐다. 이 같은 현실을 청와대·국무총리·국회·여야 대표에게 수차례 설명했다"며 "정부의 결정에 아쉬움이 남지만 앞으로 코로나19 확산 저지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양승진기자 promotion7@yeongnam.com

양승진
먼저 가본 저세상 어떤가요 테스형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