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
    스토리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1030010003861

영남일보TV

[이태원 참사] 압사 순간 재구성...해밀톤호텔 옆 비좁은 경사로서 비명 시작

2022-10-31

29일 밤 이태원 코스튬 차려입은 젋은이로 가득
10시15분 서울종합방제센터에 "사람 10여명이 깔렸다" 최초 신고 접수
필사적 구출 노력에도 사망자가 150명이 넘어 안타까움 더해

2022103101000920500038652
29일 오후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 핼러윈을 맞이해 인파가 몰리면서 대규모 인명사고가 발생했다. 30일 오전 출동한 119 구조대원들이 희생자들을 구조하고 분류하고 있다.이날 소방당국에 신고된 구조신고는 81건, 심정지 상태인 환자는 약 50명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clip20221030183641

300명에 가까운 사상자를 낸 서울 이태원 압사 참사를 정부와 소방당국, 경찰 등의 발표를 중심으로 재구성해 봤다.


'핼러윈 데이'를 이틀 앞둔 토요일이던 지난 29일 밤 이태원은 갖가지 '코스튬'을 차려입은 젊은이들로 가득했다. 축제 분위기가 절정으로 치닫던 밤 10시를 갓 넘긴 시간 해밀톤호텔 옆 폭 4m 정도의 비좁은 경사로에서 비명이 터져 나왔고, 곧바로 참사로 이어졌다.


서울종합방재센터에 "사람 10여 명이 깔렸다"는 신고 전화가 접수됐고, 뒤 이어 119에 신고 전화가 빗발쳤다.


소방당국은 최초 신고가 들어온 후 2분 뒤인 오후 10시17분쯤 곧바로 현장에서 2㎞ 떨어진 용산소방서의 구조대와 구급차를 현장에 투입했다. 그러나 이태원에 몰린 인파로 구조대와 구급차 진입이 쉽지 않았고, 그 시간에도 사람들은 쓰러지고 있었다. 어렵게 도착한 구조대원 등의 전언에 따르면 이미 사람들이 겹겹이 쌓여 층을 이루고, 의식을 잃은 사람과 간절한 구조의 눈길을 보내는 이들이 뒤엉켜 있었다. 구조대원들은 맨 아래에 깔린 사람부터 구조하려 했으나 위에서 내리 누르는 압력 탓에 힘껏 당겨도 빼낼 수 없었다. 이런 모습은 동영상을 통해 생생하게 국민들에게 전해져 안타까움을 더했다.


현장 목격자들의 증언을 종합하면 크게 늘어난 인파로 폭 4m의 좁은 길이 가득 차면서 사람들이 옴짝달싹 못 하게 됐고, 누군가 밀려 넘어지자 순식간에 도미노처럼 사람들도 무너져 내렸다.


소방당국은 밤 10시43분 대응 1단계를 발동했고, 10시45분에는 119구급상황관리센터 재난의료지원팀 출동을 요청했다. 10시 53분 도시철도 이태원역 인근 한강로에 임시 응급의료소까지 설치해 부상자를 받았다. 밤 11시에는 서울대병원 재난의료지원팀(DMAT) 지원을 요청한 데 이어 한양대·고려대·아주대·분당서울대병원 등 수도권 권역 응급의료센터 재난의료지원팀을 총동원 했다.


소방당국은 밤 11시13분 대응 2단계로, 이어 11시50분에 대응 3단계로 격상하고 구급차 142대를 비롯해 구조 인력과 장비를 대거 투입했다. 소방과 경찰 등 투입 인원은 2천692명에 달했다.


시민들의 협조도 그나마 사망자를 줄이는데 큰 도움이 됐다. 미쳐 구조되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일부 시민들은 인공호흡과 심폐소생술을 하며 안간힘을 쏟기도 했다. 일부 시민들은 쓰러진 피해자의 팔다리를 주무르고, 꽉 끼는 옷을 헐겁게 풀어주거나 잘라주기도 했다.


이 같은 노력에도 사망자가 150명이 넘어 안타까움을 더했다. 이중 10여명은 중상으로 알려져 사망자는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Warning: Invalid argument supplied for foreach() in /home/yeongnam/public_html/mobile/view.php on line 408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남일보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