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0513010001758

영남일보TV

[체리의 세계식문화산책]〈끝〉유목민과 채소

2024-05-17

정착생활로 비만해진 유목민, 한류열풍 이후 수명 늘었다

지구촌에는 다양한 유목민이 많았다. 그들은 중앙아시아, 중동, 몽골, 북아프리카 사막 지대 등에 대규모로 이동하며 살았다. 인류사에서 최대의 제국을 건설한 몽골 제국의 주인공도 유목민들이었다. 세계사를 통째로 바꾼 그들은 오늘날까지도 여러 음식 문화에 영향을 끼쳤다. 몽골 제국이 아랍, 지금의 이라크 땅에서 들여온 소주도 한국인의 식문화를 좌우했다. 육상 실크로드 역사도, 동서양 음식도 유목민들과 관련이 깊다. 어디든 새로 돋아나는 초지를 찾아서 이동을 하던 그들은 대부분 육식 생활을 즐겼다. 20세기에 들어 유목민 사회에 놀라운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 다양한 채소를 즐기며 식생활이 바뀌고 있다. 그러자 평균 수명도 늘고 있다. 고려인으로 불리는 한국계 우즈베키스탄 사람들은 정착 생활이 낯선 유목민들에게 농업을 전수했다.

[체리의 세계식문화산책]〈끝〉유목민과 채소
목축하며 육식했던 몽골·아랍인
현대 들어선 각종 성인병 시달려
K푸드 나물 즐기자 수명 10년 증가

전쟁통 '초근목피' 연명하던 음식
이젠 인류 건강 지키는 구원투수


우즈베키스탄에도 농업과 목축업을 겸한 농축산업이 늘어나고 있다. 이제는 단순 농업이 아니라 30만평 규모의 스마트팜 농업도 하고 있다. 대부분 유목 민족이었던 중앙아시아 사람들, 그들은 양고기, 염소고기 등 소비층이 넓다. 현지인들은 말고기도 즐긴다. 유럽 일부 지역이나 중국에서 살고 있는 유목민과 중앙아시아 사람들은 평소 채소와 말고기도 고루 먹는다. 우즈베키스탄에서 판매하는 전통식 말고기 요리는 짜다. 양고기보다 질긴 느낌이다. 한국에서는 제주도에 가면 말고기를 쉽게 시식할 수 있다. 말은 한반도 어디에서든 귀하게 대접을 받았던 동물이다. 고려시대에 대단히 인기 있는 수출 품목이었다. 그러니 일반인은 말고기를 먹을 기회도 없었다. 오늘날에도 한국의 일반적인 식당에서는 말고기를 쉽게 먹지 못한다. 그러나 양고기는 전국적으로 고루 퍼졌다.

[체리의 세계식문화산책]〈끝〉유목민과 채소
[체리의 세계식문화산책]〈끝〉유목민과 채소
[체리의 세계식문화산책]〈끝〉유목민과 채소
육식생활을 즐긴 유목민 사회에서 최근 나물 등의 한식이 유행하면서 평균 수명이 늘고 있다. 위부터 유목민의 음식인 샤부샤부, 한식인 채소쌈과 다시마 부각.
전통적으로 유목민들이 즐긴 말고기, 양고기가 농업국이나 선진국에서도 인기가 높아지고 있다. 몽골 초원을 달리던 유목민들이 말고기나 양고기 등을 말려두었다가 끓는 물에 넣어 먹던 음식에서 유래한 샤부샤부, 이 또한 유목민들의 식생활에서 탄생된 문화이다. 오늘날 샤부샤부는 전 세계에 퍼져 있는 특별한 요리이다. 21세기에는 정착해서 농업을 하는 유목민들이 급격히 늘고 있다. 생산 종류도 늘었고 한국형 스마트 농법도 도입해 대규모로 수십만 평씩 농업을 하는 이들도 생겼다. 채소 재배가 가능하자 오이나 토마토, 기타 채소를 1년 내내 생산하고 공급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몽골의 경우만 해도 한류 바람으로 상추나 다른 채소들, 김치 소비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자 놀라운 변화가 일어났다. 비만 인구가 서서히 줄어들었고 수명이 10년쯤 늘기 시작했다.

한식의 매력이 몽골이나 다른 유목민 나라에서도 잘 통한다. 매운 음식이나 기타 다양한 한국 음식이 유목민들의 식생활에 녹아들고 있다. 그들은 한국 라면도 좋아한다. 유목민들이 접하기 어려운 해산물 제품도 앞으로 주목할 일이다. 유목민 사회에서조차 김이나 다시마, 미역 같은 한국산 해산물이 식재료로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고려시대 제주 탐라목장은 대표적인 말 생산지였다. '사람은 서울로 말은 제주도로'라는 말이 전국적으로 유행한 시절도 있다. 그러나 21세기가 되자 모두 옛이야기가 되었다. 사람들이나 말의 이동이 자유롭고 음식도 지구촌 왕래가 활발하다. 유목민으로서 말을 타던 이들이 이제 말 대신 승용차를 타거나 비행기를 타고 세상을 오간다.

우리가 말고기, 양고기를 먹는가 하면 그들도 김치와 채소, 김밥을 먹는다. 유목민이 고기를 쌈장을 찍어 상추에 싸서 먹는 시대이다. 한식이 지구촌 이웃들의 평균 수명도 늘린다. 오늘날 세계 인구는 80억명 이상 늘었다. 기아로 허덕이는 이들도 많고 5초에 1명씩 굶주림과 질병으로 죽어가고 있다. 비만으로 고생하는 환자들도 갈수록 늘고 있다. 유목민들은 과거와 달리 움직임이 대폭 줄었다. 그리고 밤늦게 먹고 잔다. 고스란히 뱃살로 간다. 그래서 체중이 100㎏ 넘는 이들이 나라마다 수두룩하다. 음식이 달거나 짜거나 기름지다. 그런 이들은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을 달고 산다. 놀라운 것은 한국인과 비교해 평균 수명이 20년쯤 차이가 난다. 이는 매우 심각한 일이다.

[체리의 세계식문화산책]〈끝〉유목민과 채소
전 세계 어딜 가도 한국처럼 각종 나물 문화가 발달한 나라가 없다. 과거 전쟁 등으로 한국인이 먹고살 것도 없던 시절에 산과 들에서 자라는 대부분의 식물 이파리는 먹거리였다. 사계절이 있어서 긴 겨울날과 봄까지 먹고살 길이 없었다. 여름과 가을에 온갖 식물의 잎을 따서 말리고 쪄서 저장했던 한국인, 과거 한국인의 식생활은 빈곤의 상징과도 같았다. 오죽하면 '초근목피(草根木皮)'라는 말까지 생겼을까? 한국은 오랜 세월 불교 문화권이었다. 그러다 보니 채식 위주의 담백한 절밥도 발달했다. 베트남, 캄보디아 불교 승려들은 고기를 먹고 술도 즐긴다. 그러나 한국의 사찰 음식은 채식 위주였다. 사찰식과 일반적인 한식이 건강한 음식이라는 인식이 생겼고 인기를 끌기 시작했다. 불과 30년 전 이런 세상이 오리라는 건 상상도 못했다.

[체리의 세계식문화산책]〈끝〉유목민과 채소
이연실(체리) 글로벌 저널리스트
비만은 단지 외모, 날씬하면 보기가 좋고 뚱뚱하면 보기 싫다의 문제가 아니다. 매우 비만인 사람의 경우 돌연사가 오기도 한다. 외국만 그런 게 아니라 한국도 돌연사가 늘어난다. 나이가 많지 않은 이들 중에도 갑자기 쓰러져서 사망하는 경우가 꽤 있다. 비만은 혈관에도 치명타이다. 다양한 사례의 돌연사가 언론에 보도되지 않을 뿐이다. 지구촌 비만 문제를 해결할 지름길이 한식에 있다. 한식이 세계화되면 인류의 행복에도 기여하게 된다. 온갖 성인병을 예방할 수 있다. 짜고 기름지고 단 음식을 즐기는 이들이 대부분이다. 게다가 가공식품과 인스턴트 식품이 늘고 있다. 입에서 맛있는 음식이 과하면 모두 지방으로 쌓이고 과도한 내장 지방 등은 생명을 위협한다. 식생활이 건강과 삶, 생활의 질을 좌우한다. 이는 요즘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맨발 걷기와 일맥상통하는 바가 있다.

이탈리아나 지중해 주변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토마토와 오이, 올리브를 즐긴다. 당연히 그 지역에는 건강하게 사는 사람들이 상대적으로 많다. 21세기 들어 지중해식이 인기를 얻고 있다. 그렇다고 발효 음식 최강국인 한국의 전통음식과 나물 반찬을 따라갈 수 없다. 어느 여성이 나물 사업으로 대박을 터트린 건 유명하다. 그만큼 사람들이 건강을 중시하고 있다는 의미다.

인간에게 의식주는 중요하다. 집은 크기가 작아도 살 수 있고 옷은 많지 않으면 깨끗이 입으면 된다. 그러나 음식은 날마다 먹지 않으면 살지 못한다. 지구촌 한류열풍에 한식도 들어가 있다. 한식이야말로 지구를 구하는 구원 투수가 될 분야다. 세상의 어떤 성공이나 부귀영화보다 건강한 삶이 가장 멋지게 성공하는 것 아닐까?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 것'이라는 말은 전혀 지나친 말이 아니다. 한식이 건강식이라는 사실이 그저 자랑스럽다. 글로벌 저널리스트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위클리포유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