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산업단지공단과 엘앤에프·코데이터솔루션·협력사 3개사가 '산업단지 ESG 공급망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ESG확산 의지를 다지고 있다. <한국산단공 제공>
"바이어들이 먼저 묻는 건 가격이 아닙니다. 탄소를 어떻게 줄였는지, ESG를 어떻게 관리하는지였습니다."
이상훈 한국산업단지공단 이사장은 지난 9월 열린 '대한민국 산업단지 수출박람회(KICEF 2025)'를 단순 상담을 넘어 글로벌 기준에 맞는 역량을 평가하는 무대라고 평가하면서 이렇게 말했다.
"ESG는 선택이 아니라 거래 전제조건입니다. 협력사와 공동 대응하지 않으면 글로벌 시장에서 외면받을 수밖에 없습니다." 2차전지 기업 엘앤에프 조정훈 전무의 말이다.
유럽의 공급망 실사지침(CSDDD)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미국의 관세·노동 기준 강화는 전세계의 거래 문법을 바꾸고 있다. 견적 요청 단계에서 협력사의 배출·안전·인권 데이터와 원산지·공정 경로 증빙 요구가 일상화되면서 기업 현장의 교육·자문 수요도 동시에 부상했다.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의 ESG가 글로벌시장 거래 '핵심 열쇠'로 자리잡으며 기업의 ESG 규범 대응 필요성도 커졌다. 중소·중견기업이 밀집한 산업단지는 ESG 변화의 최전선에서 체감 속도가 빠른 만큼 제조 거점을 넘어 글로벌 통상 환경에 대응하는 수출 플랫폼으로 역할도 주어지고 있다.
이런 흐름에 맞춰 한국산업단지공단(이하 산단공)은 산업단지 입주기업들이 ESG로 무장해 통상 규제의 파고를 넘을 수 있도록 ESG 공급망 및 신통상 규범 대응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산단공은 공공기관 중 유일하게 중소벤처기업부·동반성장위원회가 주관하는 '대·중소 자율형 ESG 지원사업'에 선정돼 142개 중소기업에 ESG 컨설팅을 지원했고, 원청-협력사 공급망 대응 지원사업에 110개 기업이 공급망 공동 대응 지원사업에 참여하며 '산업단지형 ESG 협력 모델'로 실질적 성과를 만들고 있다.
산업통상부의 신통상규범 대응 정책사업 수행기관이기도 한 산단공은 또 수출기업이 강화된 국제 규제에 선제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도 하고 있다. KOTRA·국민은행·GLCA(글로벌선도기업협회)와 공동으로 CEO와 실무 투트랙의 현장형 패키지 프로그램인 '수출기업 글로벌 통상 대응 세미나'를 처음 개최했다. 교육·자문·금융을 한번에 묶는 이 프로그램은 산업단지 중심의 글로벌 통상 대응 협력 플랫폼으로 산업·금융·무역 지원기관이 공동 참여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은 또 산업단지 입주기업과 협력사의 파트너십 구축에도 힘을 쏟고 있다. 2차전지기업 엘앤에프와 코데이터솔루션·협력사 3개사와 한국산단공이 '산업단지 ESG 공급망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 체결한 업무협약이 대표적 예다. 업무협약을 체결하며 엘앤에프 조정훈 전무는 "ESG는 선택이 아니라 글로벌 거래의 전제조건으로, 협력사와 공동 대응하지 않으면 글로벌 시장에서 외면받을 수밖에 없다"고 하면서 "이번 파트너십은 산업단지 전체가 살아남기 위한 연대의 시작"이라고 했다.
지난달 20일 진행된 한국산업단지공단과 엘앤에프·코데이터솔루션·협력사 3개사의 '산업단지 ESG 공급망 파트너십' 구축 업무협약식에서 참석자들이 사인을 하고 있다. <한국산단공 제공>
<한국산업단지공단 공동기획>
윤정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