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창훈
일상에서 무의식적으로 사용하는 '이판사판, 야단법석, 찰나, 현관' 등의 단어가 가지는 공동점은 모두 불교에서 유래했다는 점이다.
이 말의 원래 의미는 이렇다. '야단법석(野壇法席)'은 석가모니가 야외에 마련한 법단에 올라 펼치는 법문을 경청하기 위해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신도가 운집한 모습을 의미한다. '찰나(刹那)'는 극히 짧은 시간에도 많은 일들이 발생할 수 있는, 다시 말해 수만 가지의 변화와 기회의 순간이 포함되어 있음을 뜻한다. 그리고 '현관(玄關)'은 깊고 오묘한 부처님의 가르침의 세계를 익히고 배우려는 첫 번째 관문의 시작을 가리킨다.
하지만 우리 일상에서 쓰임새는 불가의 개념과는 좀 다르다. 야단법석은 떠들썩하고 부산스러운 상황을, 찰나는 (물리적으로)극히 짧은 시간을, 현관은 사람이 거주하거나 사용하는 공간의 입구 등을 지칭하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이판사판(理判事判)도 마찬가지다. 이 말은 득도를 위해 선방에서 수행에 정진하거나 경전을 공부하는 이판승과 사찰 유지와 신도 관리 등 사무를 전담하는 사판승 간에 벌어진 갈등이 최고조에 달해 어쩔 수 없는 상황이 벌어진 데서 유래한다.
일각에서는 해석을 달리하기도 한다. 성리학을 근간으로 삼은 조선은 건국 초부터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을 펼침에 따라 승려에 대한 대우가 열악했다. 대표적으로 태조는 일정한 금액을 납부한 후 도첩을 발행해 출가를 공인해 주는 도첩제(度牒制)를 시행했다. 이외에도 불교를 억압하는 정책이 잇따랐다. 따라서 조선시대에 승려가 된다는 것은 이판이든 사판이든 가릴 것이 없이 모두가 열악한 대우를 받았다. 다시 말해 어디에 소속되든 승려 신분이라면 그 처우가 '모두 다를 것 없다'는 의미에서 이판사판이 유래했다는 설이다.
각설하고 앞서 언급한 이판과 사판승 간 벌어진 갈등설로 되돌아가 살펴보면, 이들 사이에 벌어진 갈등의 핵심은 '불교를 이끌어가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쪽은 누구인가'에 초점을 맞춰져 있다.
당시 이판승은 자신들이 참선과 수행에 정진하는 등 승려의 본분에 충실했기에 불심으로 가득한 신도들이 사찰을 찾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사판승은 이판이 잡념을 털어버리고 수행에 정진할 수 있도록 식사 등의 허드렛일에서부터 부처님을 찾는 불자와 사찰 관리 등을 전담했기에 불교가 융성할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자연히 논쟁은 치열할 수밖에 없었고, 그에 따른 갈등은 극단을 치달을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이판과 사판은 (일상에서 통용되는)말 그대로 '이판사판'이라는 극단적 선택에 따른 공멸의 길을 거부하고, 서로의 역할을 인정하는 슬기로움을 발휘한 듯하다. 아직도 사월 초파일이면 가까운 사찰을 찾는 불자의 행렬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불교는 발전을 거듭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처럼 세상의 모든 이치가 완벽한 하나만 존재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조금은 서툴거나 부족하더라도 서로 다른 다양한 생각이 어우러져 상대의 모자람을 채워 주며 더불어 함께 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다만 자신들을 뽑아준 유권자의 차가운 눈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오직 당리당략에만 충실한 그들. 이도 부족한지 국회에서 퇴로를 차단한 체 돌격 앞으로만 외치며 사사건건 상대방과 드잡이질에만 몰두하는 그들. 그렇게 자신의 품격이 점점 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아직도 모르고 있는 그들만 빼고 말이다.
마창훈 / 경북본사 부장
마창훈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