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새벽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고 있다. 연합뉴스
최초로 민간주도로 제작된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II)가 27일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돼 탑재위성들을 계획된 궤도에 안착시켰다.
배경훈 부총리 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현장에서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을 공식 발표하며 "1시 55분 차세대 중형위성 3호의 신호 수신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민간 체계종합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발사체 제작과 조립을 총괄하고 항공우주연구원이 발사 운용에 참여해 처음으로 민관이 공동으로 준비했다.
누리호는 지구 오로라 관측 임무를 위해 처음으로 야간에 쏘아 올려졌다. 엄빌리칼 회수 압력 센서 신호 이상으로 발사 시각이 당초 0시 55분에서 18분 늦춰졌지만 이륙과 비행 과정은 계획대로 이어졌다.
발사 후 누리호는 예정된 비행 시퀀스를 정확히 따라갔다. 이륙 122.3초 뒤 고도 65.7㎞에서 1단 분리와 2단 점화가 이뤄졌고, 230.2초에는 고도 211.1㎞에서 페어링이 열렸다. 이어 263.1초에 2단을 떼어낸 뒤 3단을 점화해 상승을 이어가 741.2초 시점 고도 600.5㎞에 도달했다. 자세를 안정화한 뒤 790.9초경 고도 601.3㎞에서 차세대 중형위성 3호를 분리했고, 이어 813.6초부터 914.4초 사이 12기 큐브위성을 순차적으로 분리해 모든 임무를 마무리했다. 분리 고도는 600㎞±35㎞ 기준을 충족했으며, 항우연은 1·2·3단 엔진 모두 설계값을 웃도는 성능을 보였다고 전했다.
차세대 중형위성 3호는 1시 55분경 남극 세종기지 지상국과 첫 교신을 통해 태양전지판 전개 등 위성의 정상 상태를 확인했다. 부탑재위성 12기는 위성별 교신 일정에 따라 순차 점검이 진행된다.
이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