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406022396733

영남일보TV

“의사 없는 병동”…대구경북 심뇌혈관 전문의 고령화 ‘심각’

2025-04-06 11:34

심평원 “전국 33개 지역 중 경북 군단위 전문의 수 최하위”
대구 비도심, 심혈관 전문의 ‘0명’…뇌혈관도 턱없이 부족

“의사 없는 병동”…대구경북 심뇌혈관 전문의 고령화 ‘심각’

심혈관·뇌혈관질환을 포함한 중증질환 수술에서도 지역 간 의료격차가 뚜렷하게 드러났다. 특히 경북 등 농촌 지역은 수술의 대부분을 외부 지역에 의존하는 실정이다.

대구경북지역의 심혈관·뇌혈관질환 전문의 부족 및 고령화 정도가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 의료시스템이 구조적으로 붕괴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는 신호로 분석된다.

6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HIRA)이 발표한 ' 지역보건의료진단 기초연구: 의료자원의 격차 중심으로' 보고서를 보면, 전국 17개 시도 행정구역을 도시·도농복합·농촌 등 시도별 유형에 따라 33개 지역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이같은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서울을 '서울 도시' 1개 지역, 대구를 '대구 도시'·'대구 농촌(달성·군위군)'으로 2개, 강원도를 '강원 도시'·'강원 도농'·'강원 농촌' 등 3개로 나누는 식으로 지역을 분류했다.

이후 지역별 심뇌혈관질환 전문의 수와 60세 이상 비중을 파악했다.

그 결과 대구경북은 심혈관·뇌혈관질환 전문의 수에서 수도권과 뚜렷한 격차를 보였다.

특히 경북 농촌 지역(비도심)의 경우, 심혈관질환 전문의 중 60세 이상 비중이 57.2%에 달했다.

인구 10만명당 전문의 수는 0.4명으로 전국 최하위였다.

대구의 농촌지역은 심혈관질환 전문의가 단 한 명도 없는 '의료 사각지대'였다.

이는 단순한 지역 불균형수준이 아니다.

고령 전문의가 상당수인 상황에서 향후 수년 내 퇴직이 현실화되면 '의사 없는 진료실'만 수두록하게 남을 것으로 보인다.

뇌혈관질환 분야도 사정은 매한가지다.

경북 농촌의 뇌혈관질환 전문의 수는 10만명당 0.8명으로. 서울(12.8명)의 6% 수준에 머물렀다.

이는 대구경북만의 문제는 아니다.

전국적으로 도시와 비도시 간 전문의 수 격차가 뚜렷하고, 농촌 지역일수록 60세 이상 전문의 비율이 높아지는 추세다.

강원 도시지역은 심혈관질환 전문의가 모두 60세 이상이었다.

사실상 '퇴직 대기조'만 남은 셈이다.

전국적으로 심뇌혈관질환 전문의의 60세 이상 비중은 평균 17%였지만, 강원 도시는 82.1%에 달했다.

경북도 이 흐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단순한 '의사 수 부족' 문제가 아니라 '젊은 전문의 유입 단절'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에 직면해 있는 셈이다.

이번 연구는 2023년 기준 자료를 토대로 한 것이다. 2024년 이후 본격화된 전공의 이탈과 수도권 쏠림 현상은 이같은 상황을 더 심화시키고 있다.

연구진은 “가용 시설은 있지만 인력 부족으로 환자가 적정 진료를 받지 못하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후속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기자 이미지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