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61011.010030724570001

영남일보TV

[대구 SWOT 분석]위협-빠른 고령화 ‘먹구름’

2016-10-11
[대구 SWOT 분석]위협-빠른 고령화 ‘먹구름’
그래픽=최은지기자 jji1224@yeongnam.com

고령화 속도 전국 평균보다 높고
출산율 낮아 ‘인구 절벽’위기감
작년 재정자립도 46% ‘최하위권’
수도권 규제완화로 타격 불가피


대구의 가장 큰 위기는 도시가 나이 들어 가면서 활기를 잃어가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해 대구 고령화율(65세 인구/전체 인구)은 12.71%로, 2011년보다 2.34%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국의 고령화율은 11.24%에서 13.15%로 1.91%포인트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고령화 속도가 빠른 것이다. 출산율은 전국 평균 1.24명(가임여성 1명당)을 밑돌았다.

통계청의 ‘2015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대구 가임 여성 1명당 합계출산율은 1.22명으로,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15째로 최하위권을 기록했다. 대구보다 출산율이 낮은 지역은 부산(1.14명)과 서울(1.00명) 두 곳뿐이었고, 인천·광주는 대구와 같은 수준이었다.

반면 대구의 평균 출산연령은 32.5세로, 전국 평균(32.3세)보다 높았다. 이 같은 출산연령은 서울(32.8세)을 제외하고는 부산과 함께 전국 17개 시·도 중 가장 높은 것이다. 특히 2005년 평균 30.25세였던 대구의 모(母) 평균 연령은 2009년 31.04세, 2013년 32.00세로 늘어나는 상황이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 탓에 대구시는 올해 처음으로 인구쇠퇴주의단계에 진입했다. 이는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황영철 의원이 한국고용정보원과 함께 2015~2016년 인구변화를 분석한 ‘한국의 지방소멸 위험지역 현황’에 따른 것이다. 한국고용정보원 이상호 박사가 가임기 20~39세 여성인구를 65세 이상 인구로 나눈 값인 ‘지방소멸위험지수’를 산출한 결과로, 올해 7월 기준 국내 20~39세 여성인구는 689만8천명으로, 65세 이상 인구 690만3천명보다 줄면서 처음으로 0.999로 1.0 미만을 기록했다. 지수가 1.0 미만이면 인구쇠퇴주의단계, 0.5 미만이면 인구소멸위험단계에 속한다. 즉, 젊은 여성이 노인 인구보다 적으면 인구쇠퇴주의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절반이 안 되면 인구소멸위험단계로 분류하는 것이다.

지방소멸이란 개념은 일본에서 유래한 것으로 젊은 여성 인구가 대도시권으로 유출될 경우 향후 30년 내 지방 도시 상당수가 소멸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분석결과 대구는 지난해 7월 1.024에서 올해 7월 0.977로 떨어져 지수가 1.0 미만, 즉 인구쇠퇴주의단계에 새롭게 진입했다. 서울을 제외한 6개 광역시 가운데 1.0 미만인 곳은 대구와 부산 단 2곳뿐이다. 서울과 인천·광주·대전·울산시, 그리고 경기와 세종시는 모두 지수가 1.0 이상이었다. 서울과 광역시 대부분은 아직 인구쇠퇴주의단계에 진입하지 않은 상황인 데 반해 대구는 이미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이런 상황이 이어질 경우 65세 이상 인구가 대구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25년 20%에 도달,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대구시는 보고 있다. 생산가능인구(15~64세) 100명당 유소년인구는 2000년 28.5명에서 2040년 19.3명으로 감소하지만, 노년인구는 2000년 8명에서 2040년 57.9명으로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유소년인구 100명당 고령인구는 2000년 28명에서 2040년 299.5명으로 급격히 증가, 중위연령은 2040년 52.9세로 전망되고 있다.

이런 탓에 사회복지 비중은 34.6%로 서울과 6대 광역시 중 상위그룹인 3위였고, 2015년 기준 재정자립도는 46.9%로 6위, 주민 1인당 자체수입액은 107만5천원으로 5위, 하위권에 머물렀다.

수도권 규제 완화로 수도권 중심의 발전이 가속화되면서 지역의 우수 인재와 첨단기업, 지식서비스 산업 등이 수도권으로 이동하고 있고, 최근에는 지역 인재 양성에 나서던 대학들도 수도권 이전을 추진, 인력양성 기능마저 약해질 위기에 놓였다.

올해 국감자료를 보면 2015년 외국인 투자 도착액(직접 투자액) 165억 달러의 63.1%가 서울 등 수도권에 몰린 반면 지방으로 이전한 수도권 기업이 받는 보조금은 2011년 833억원에서 2015년 258억원으로 4년 만에 31% 수준으로 줄어드는 등 수도권 집중은 수치로도 증명됐다

노인호기자 sun@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기획/특집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