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에 대한 평가는 시민 개개인의 정치적 성향에 따라 엇갈렸지만, 공통된 바람은 '하루빨리 정치안정'과 '민생 회복'이었다.
경주 성동시장에서 자영업을 하는 최모(61)씨는 “결정 자체는 수긍하지만 탄핵까지 가는 과정이 너무 길었다"며 “혼란을 줄이려면 대선을 최대한 빨리 치르고 정국을 안정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탄핵정국이 마무리된 만큼 이제는 서민경제를 살피는 데 집중해줬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동천동에서 직장을 다니는 회사원 이모(39)씨는 “당연한 결과다. 대통령은 책임을 져야 하는 자리"라며 “정치가 국민을 불안하게 해서는 안 된다. 이번 일을 계기로 한국 정치가 한 단계 성숙했으면 한다"고 밝혔다.
임대업을 하는 김모(61)씨는 “헌재 결정을 존중하지만, 민주당 세력이 힘으로 밀어붙인 감이 있다"며 “이번 결정 이후 야당의 독주가 대선까지 이어진다면 향후에 또 다른 불안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했다.
APEC 관련업계에 종사하는 김모(48)씨는 “개인적 소감보다 중요한 건 정국의 안정"이라며 “APEC 행사의 성공 개최를 위해선 여야정의 추경 합의와 조속한 예산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토목업계 종사자 박모(45)씨는 “탄핵정국이 지역경제를 더 어렵게 만들었다. 그동안 정부 공사 발주가 지연되면서 지역업체들이 줄도산 위기에 처해 있다“며 "APEC 사업 예산도 대형업체에만 집중되고, 경주 중소업체는 손가락만 빨고 있다"는 하소연도 나왔다.
원전 관련업계에 근무하는 서모(55)씨는 “예상된 결과지만, 향후 새 정부가 탈원전 정책으로 돌아설까 우려된다"며 “경주와 같은 원전 인접 지역에선 에너지 정책의 일관성과 안정성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고 말했다.
주부 정모(29)씨는 “지역에서는 탄핵기각을 기대했던 시민들의 정서도 컸지만, 이제는 시민들이 헌재의 결정을 수용하는 '상식의 회복'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했다.

장성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